출처 : https://spri.kr/posts/view/19827?code=industry_trend
SSL/TLS 주요 보안 이슈 - SPRi
■ SSL/TLS는 인터넷 상에서 주고받는 민감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관련 보안 이슈로 위협 지속 발생 ■ 보안에 취약한 SSL 2.0과 SSL 3.0의 사용을 자제하고 TLS 1.0 이상 사용 권장
spri.kr
해당 글의 내용은 위의 링크인 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"SSL/TLS 주요 보안 이슈" 글의 내용을 재정리하고 추가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.
SSL/TLS 란?
Secue Sockets Layer / Transport Layer Security의 약자
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서 주고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주는 규약
- SSL 1.0 : 심각한 보안 문제로 발표도 안 됨.
- SSL 2.0 : MD5 사용 등의 보안 문제
- SSL 3.0 : POODLE 공격 취약
- TLS 1.0 : SSL 3.0보다 좀 더 보안이 강화 됨.
현재 TLS 1.3 초안 작업 진행 중
- 구글을 비롯해 주요 기업들이 SSL/TLS 기반의 Secure HTTP 사용을 권장, 무료 SSL 인증서 발급 기관도 등장
HEIST 공격 (2016년 8월, Black Hat 발표)
HTTP Encrypted Information can be Stolen through TCP-Windows)는 브라우저에 대한 사이드-채널 공격을 통해 SSL/TLS로 암호화된 데이터의 정확한 크기를 알아내는 공격
- 중간자 공격없이 사용자의 브라우저만 있으면 웹사이트의 광고 등에 몰래 숨겨놓은 악성 JavaScript를 이용하여 공격 가능
- 암호화된 데이터 크기를 정확히 파악 ==> "압축-기반 공격" OR "크기-노출 공격"에 취약해져 사용자 계정, 패스워드, 의료데이터 등 민감한 정보 탈취 가능성 높음
Fetch API : 데이터 전송 시작
타이밍 API : 데이터 전송 종료
- 첫번째 TCP Window 안에 암호화된 데이터가 전송 완료되었는지
- 두번째 TCP Window 안에 전송 완료되었는지를 알아낼 수 있음
1) 첫번째 TCP window에서 완료된 경우
- T2 ~ T1이 1ms 내외로 매우 짧음
2) 두번째 TCP window에서 완료된 경우
- ACK를 받기 위한 시간(Found Trip)이 추가되어 상대적으로 길어짐
'개념정리 > Network Security 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비스 거부공격(DoS) 이론 정리 (세미나 정리) (0) | 2022.04.04 |
---|